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경제사상24

네덜란드의 부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16세기 말 네덜란드는 가난한 농촌의 집이라도 몇 점의 그림을 소장할 정도로 사회 전체가 부유했다. 16~17세기 전성기를 누릴 때 서구 세계 선박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어떻게 부유한 국가가 될 수 있었을까? 네덜란드 번영의 원동력은 사람에게 있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사상적·종교적 자유를 인정했다. 16세기 중엽부터 스페인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아 유대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들었고 가톨릭 세력의 학살을 피하기 위해 프랑스를 탈출한 위그노가 네덜란드로 왔다. 유대인에 대한 차별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기술을 가졌거나 지식인인 경우에는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1579년 네덜란드는 건국 헌장에 종교의 자유를 선언하면서 유럽 전역의 종교 난민들을 받아들였다. 그래서 금융자본과 인적자본을 계속.. 2023. 2. 11.
스페인은 굴러 들어온 복을 차 버렸다 1492년에 세계사에서 의미 있는 사건 3가지가 발생했다. 세 가지 사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1492.1.2. 레콘키스타(기독교 세력의 국토회복운동) 둘째, 1492.3.31. 알람브라 칙령(유대인 추방령 선포) 셋째, 1492. 10.12.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 레콘키스타(Reconquista) 622년 아랍인들은 이슬람 왕국을 건설하고 8세기 이후 지금의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지역인 이베리아반도를 점령하였다. 11세기 들어 이슬람 세력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공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3세기 말부터 기독교도들은 에스파냐 땅의 대부분을 되찾았으나 그라나다왕국은 마지막까지 남아 200년 이상 버텼다. 기독교 세력의 승부수는 기독교 왕국 간의 정략결혼에 있었다. 그 당시 이베리아반도에는 3대 기독교 왕.. 2023. 2. 9.
미운털 박힌 유대인은 중세시대에 어떻게 돈을 벌었을까? 중세 유럽과 이슬람 제국 622년 아랍인들이 이슬람 왕국을 세웠다. 이슬람교가 등장한 지 1백년도 되기 전에 이슬람 왕국은 서양문명을 압도했다. 이슬람 왕국은 기독교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으나 유대인에게는 관대하였다. 이슬람 세력이 이베리아반도를 정복하면서 일부 유대인들도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다. 이베리아반도는 상업의 발달로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8세기 이후 서부 지중해 위의 섬들은 모두 이슬람 세력의 수중에 들어가 지중해는 이슬람의 것이 되었다. 그리고 바이킹족이 북해를 지배했기 때문에 유럽 대륙은 해상 진출을 할 수 없어 장원경제 체제에만 의존하였다. 장원 경제에서는 농사 이외의 상업은 기독교 교리에서 탐욕의 직업으로 인식되었다. 이 시기 유럽에서 유대인은 농노들과 같은 영토에서 살 수는 있.. 2023. 2. 7.
애덤 스미스 ' 중상주의에 대한 반론 2' 애덤 스미스는 모든 상업 규제의 근본인 무역차액설에 모순이 있다고 주장했다. 무역차액론이란? : 세계 부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인접국이 빈곤하면 빈곤할수록 자국은 부유하게 된다는 시각에서 외국무역에 의한 상업자본의 축적이야말로 국부를 이루는 최선의 수단이라는 생각이다. 대표적인 사상가로 토머스 먼(1571~1641)이 있다. 그는 "영국은 타국민으로부터 얻은 증여물이나 취득물에 의해서 부유하게 될지 모르나 이는 매우 불확실하다. 따라서 부와 재보(財寶)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외국무역뿐이다."라고 했다. 무역에 의존할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국인의 재화를 소비하는 이상으로 매년 외국인에게 더 많이 재화를 판매해야 한다. 그리고 본국 재화의 수출 증가, 외국 재화의 수입 감소.. 2023. 2.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