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사상

영국 산업혁명이 가져온 변화들

by jian mom 2023. 2. 20.
728x90

산업혁명으로 영국 사회·경제에 생긴 변화

○ 영국 산업혁명은 '공장제도'라는 새로운 생산조직을 만들어냈다.

   : 18세기 중엽까지 주요한 생산 형태는 가내수공업이었다. 18세기 후반부터 초기 공장은 본격적 공장으로 발전했고 공장제도가 주요 생산조직으로 자리 잡았다. 분산된 가내수공업 방식에서는 증기기관과 같은 대규모 동력 기계 이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선대제는 자본가가 생산과정을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공업자들이 원료를 빼돌리거나 약속한 날짜까지 물건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산과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공장제도가 도입되었다. 공장제는 상인이 직접 생산도구와 작업장 등을 소유하고 수공업자를 고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 가내수공업 : 거주지와 붙어있는 작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수공업 생산을 말한다.

                         수공업자의 독립성의 정도에 따라 장인 수공업과 선대제로 구별된다. 

※ 장인수공업 : 도구와 원료를 소유하는 수공업자가 자신과 가족 그리고 직공 및 수습공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공산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방식이다.

※ 선대제 : 자본을 가진 상인이 농촌에 산재하는 수공업자들에게 원료와 도구를 제공하고 생산이 끝나면 작업 성과에 따라

                  임금을 지불한 뒤 완성품을 수거해 시장에 내다 파는 방식이다. 

  

○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영국 경제는 농업 생산 위주의 경제로부터 공업이 중심이 되는 경제로 변모했다. 

  : 1759년 48%였던 농업 인구 비중은 1841년에는 25% 수준으로 감소했다. 19세기 초가 되면 공업 인구가 농업 인구를 능가하게 되고 영국은 최초의 공업 국가가 되었다. 총생산의 구조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다. 17세기 말 영국 국민총생산에서 농업은 약 40%를, 공업은 약 21%를 차지했다. 1821년에는 농업 비중이 26.1%, 공업 비중은 31.9%가 된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생산기술은 거의 모든 산업에서 향상되었다. 특히 농업보다는 공업 부문에서 더 발전하였다.

그 결과 공업 생산성이 농업보다 빠르게 높아졌고 공업 생산 수익률의 증가로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들이 농업에서 공업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초래했다. 

 

○ 산업혁명으로 노동자들 사이의 계급의식이 생기기 시작했다.

  : 기계 도입과 분업으로 숙련 노동이 단순노동으로 대체되면서 서로 다른 직종,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이 비슷해져 갔다. 공장제도의 확대로 많은 수의 노동자가 한 장소에서 작업하게 되었다. 또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노동자들 사이의 접촉이 많아졌다. 그 결과 노동자들 사이의 계층적 동질감이 싹트기 시작했고 이를 배경으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노동운동 등이 전개되었다. 18세기와 비교하면 노동자들의 동질감이나 연대감이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자본가 계급을 적대시하고 시장경제 틀을 뒤집어엎으려고 할 정도로 급진적이거나 단결된 계급의식은 아니었다. 

 

영국의 산업혁명이 대외적으로 미친 영향

○ 산업혁명으로 19세기 초에 영국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되었다. 

  : 이 시기에 영국의 수출입 무역은 급속히 확대되었다. 유럽 대륙과의 경제 관계가 이 시기에 더욱 발전했고 아메리카, 아프라카, 아시아와의 무역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했다. 그 결과 세계 무역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대되었다.

영국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나라들 사이에 생산 조건이 비슷했기 때문에 국제무역의 규모는 별로 크지 않았다. 생산 조건이 비슷하다면 각 나라가 생산한 물건들은 비슷한 수준이라 굳이 수송비를 들이면서 다른 나라의 물건을 살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산업혁명으로 영국과 영국 이외의 나라들 사이에 공업 생산기술 차이가 벌어지자 국제무역이 급속히 증가했다. 

 

○ 산업혁명으로 인한 영국의 공업화는 다른 나라의 탈공업화를 가져왔다.

 : 공업 생산량 증가로 공산품 공급이 증가하면 영국의 공산품 가격은 외국에 비해 저렴해진다. 영국은 외국에 공산품을 수출하게 되고 외국은 공산품이 증가하게 되므로 외국에서도 공산품 가격이 내려간다. 외국에서는 공산품 가격 하락으로 농업 부문의 수익률이 공업에 비해 높아지고 생산요소는 공업에서 농업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농업 생산이 증가하여 외국은 영국에 농산물을 수출하게 된다. 즉 산업혁명으로 기술이 발전하면 생산비가 감소해서 공산품 가격은 하락한다. 반면 산업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다른 나라들에서는 기존의 낙후된 생산기술을 사용하여 공산품 생산비가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공장이나 수공업자들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 영국 제조업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면서 교역 상대국의 제조업은 후퇴하게 된다.

일례로 인도는 18세기 영국에 면제품을 수출하던 나라였다. 그런데 값싼 영국 면제품이 인도로 유입되어 인도의 전통적 수공업은 붕괴하였고 인도는 영국에서 면제품을 수입하는 나라가 되었다.

 

○ 산업혁명으로 국가들은 무역을 통해 비교 우위의 이득을 얻게 되었다.

  : 값싼 영국 공산품은 같은 공산품을 만드는 수공업자들에게는 직업을 빼앗고 생계를 위협하는 나쁜 것이고 농산물을 생산해서 이를 내다 팔아 공산품을 사서 소비하는 농민들에게는 좋은 것이다. 왜냐하면 공산품 가격의 상대적 하락으로 곡식을 내다 팔아 얻을 수 있는 공산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영국 이외의 지역은 영국에서 앞선 기술로 생산된 저렴한 공산품을 사서 쓸 수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영국 산업혁명의 덕을 보았다. 영국도 값싼 외국 농산물을 수입해서 먹을 수 있으므로 이득을 본 것이다. 이처럼 생산 조건이 다른 나라들이 무역을 통해 얻게 되는 이득을 '비교 우위의 이득'이라고 하는데 이는 산업혁명으로 가능해진 것이다. 

 

 

영국 산업혁명 의미와 배경에 관한 글 보기

2023.02.20 - [경제학] - 영국 산업혁명의 의미와 발생 배경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