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사상

네덜란드의 부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by jian mom 2023. 2. 11.
728x90

16세기 말 네덜란드는 가난한 농촌의 집이라도 몇 점의 그림을 소장할 정도로 사회 전체가 부유했다. 

16~17세기 전성기를 누릴 때 서구 세계 선박의 절반 이상을 보유하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어떻게 부유한 국가가 될 수 있었을까? 

네덜란드 번영의 원동력은 사람에게 있었다. 

네덜란드에서는 사상적·종교적 자유를 인정했다. 16세기 중엽부터 스페인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아 유대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들었고 가톨릭 세력의 학살을 피하기 위해 프랑스를 탈출한 위그노가 네덜란드로 왔다. 유대인에 대한 차별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기술을 가졌거나 지식인인 경우에는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1579년 네덜란드는 건국 헌장에 종교의 자유를 선언하면서 유럽 전역의 종교 난민들을 받아들였다. 그래서 금융자본과 인적자본을 계속하여 확보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의 자유와 풍요는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이룬 결과이다. 네덜란드는 특유의 근면함으로 그들만의 열세를 극복했다. 전체 국토의 20% 이상이 해수면보다 낮아 바닷물에 침수되는 일이 비일비재 했으나 얕은 바다를 메우는 간척사업을 통해 농토를 일구었다. '신은 세상을 만들고 네덜란드 사람들은 땅을 만들었다'는 말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니다. 15세기 후반부터 유럽지역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였는데 네덜란드는 간척사업 덕에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곡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물가상승의 혜택을 받았다. 

 

※ 위그노(Huguenot) : 프랑스 신교도들을 칭하는 말. 프랑스 경제가 나빠지면서 전통 토지 귀족들의 경제력은 약해진 반면 신교 세력의 힘은 커졌다. 위그노는 신흥 자본가층과 제조업자, 기술자, 지방 귀족이 중심이 되었다. 물가상승과 빈부격차의 확대로 생활고에 시달리던 사람들이 기존 종교에 대한 실망감과 염증이 커지면서 그 분노가 두 종교 간의 분쟁을 일으켰다. 

네덜란드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던 데는 청어가 큰 역할을 했다.

'암스테르담은 청어 뼈 위에서 건설됐다.'는 말도 있듯이 청어는 14세기 중후반~15세기 초 전성기를 누린 한자동맹을 제치고 네덜란드를 어업 강국으로 만들었다. 

청어잡이는 그 당시 돈이 되는 산업이었다. 기독교 사순절 기간과 육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겨울철에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음식이어서 청어에 대한 수요는 매우 컸다. 그런데 1425년 청어는 해류 변화로 산란지를 발트해에서 네덜란드 연안 북해로 옮겼다. 네덜란드 앞바다가 청어의 중심 어장이 된 것이다. 네덜란드 주민들의 1/4 이상이 청어잡이에 나섰다.

 

14세기 중반 네덜란드인이 배에서 바로 청어를 절이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청어잡이 어선은 밤마다 항구로 되돌아가지 않고 바다에 머물 수 있게 되었다. 이전보다 조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청어 포획량이 많이 늘어났다. 바로 잡은 생선을 배에서 염장하여 보관했다가 육지로 돌아와 청어를 한 번 더 절이면서 1년 넘게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소금에 절인 청어는 유럽 전 지역의 히트상품이 되었다.

 

청어 절임에 필요한 소금은 대부분 한자동맹 무역 망을 통해 공급받았는데 그 당시 소금 가격은 비쌌다. 네덜란드는 한자동맹의 암염 대신 이베리아반도의 천일염을 수입했다. 천일염이 값도 싸고 질도 좋아서 청어 절임 생산비는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네덜란드는 여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금정제 산업도 시작했다. 채굴도 어렵고 운반도 힘든 암염 대신 양질의 바다 소금을 정제해 대량으로 공급하였다. 가격 경쟁에서도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네덜란드는 한자동맹과의 무역전쟁에서 승리하였다. 그 시기 교역에서 소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았기 때문이다.

네덜란드는 청어를 절이고 남는 천일염과 정제 소금을 인근 국가들에 되팔아 소금 유통을 완전히 장악했다. 

먼바다를 항해해야 하는 네덜란드 해군과 상선 모두에 소금에 절인 청어를 판매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했다.

 

청어 처리 분업화를 통해 청어 절임의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켰고 청어의 포획, 처리, 가공, 판매까지 전 과정이 기업화되었다. 

지속해서 품질 관리를 했고 어획 시기를 한정하는 방법을 통해 청어 공급을 조절하여 청어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였다.

1630년~1640년 유럽 전체 청어 포획량의 절반 이상을 네덜란드에서 가져갔고 1669년 노동인구 대다수가 청어와 관련된 산업에 종사하였다. 청어 산업은 네덜란드 경제발전에 대단한 기여를 했다. 

 

※ 사순절 기간 : 기독교에서 부활절 이전 40일간 금욕하면서 참회하는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에는 철저하게 금식해야 한다. 하루에 저녁 한 끼만 먹는데 채소, 생선, 계란만 먹을 수 있고 고기는 먹을 수 없었다.  

 

네덜란드는 조선업의 발달로 세계 해운업계를 평정했다.

해상무역이 급증하면서 조선업은 대형화되기 시작했다. 16세기 중반부터 네덜란드는 배의 크기를 키워 화물 적재량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네덜란드는 최초로 근대적 조선소를 만들었고 1570년에는 표준화된 배의 건조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배는 80% 감축된 인원으로 작동할 수 있었고 건조기술이 표준화 되어 건조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이 덕분에 화물 유통에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다. 

16세기 다른 나라 바다를 통과할 때 통행세를 부과했는데 갑판의 넓이가 그 기준이 되었다. 당시 해적들 때문에 다른 나라의 배는 많은 대포를 장착하기 위해 갑판이 넓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는데 네덜란드는 안전보다는 실속을 택했다. 네덜란드의 배는 좁은 갑판, 넓은 화물칸, 가벼운 무게, 빠른 속도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즉 배의 운행에 필요한 인원의 수는 적고 운행 속도는 빨랐기 때문에 화물 운송비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저렴했다.  

네덜란드는 해상운송 물량이 증가하자 이런 장점을 가진 배를 대량 건조했고 16세기 중엽 이후 해상운송을 장악하게 되었다. 

 

  

728x90

댓글